사진학개론

1839 사진사의 시작.

  • 2025. 4. 17.

    by. 사진에관한 모든걸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

    목차

      삼각대

       

      사진은 '빛으로 그리는 그림'이라 불립니다. 하지만 빛을 담기 위한 핵심 장비 중 하나는 삼각대였습니다. 특히 일제 강점기 사진가들에게 삼각대는 생존을 위한 필수 도구였죠.


      📌 흔들림 없는 노출, 사진학의 기본이자 과제

      사진학에서 흔들림은 ‘노이즈’ 그 자체입니다. 셔터 속도가 느렸던 초기 대형 카메라 시절, 노출 시간을 수 초에서 수십 초까지 확보해야 했기 때문에 삼각대 없이 촬영은 불가능했습니다.

      특히 **일제 강점기(1910~1945)**는 필름 감도(ISO)가 매우 낮았기 때문에, 삼각대는 구도를 고정하고 피사체의 정적을 유도하는 장치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.


      🧭 삼각대의 재료와 구조, 사진학적 관점에서 본 진화

      🪵 1세대 삼각대: 나무와 철로 만든 구조적 안정성

      • 재료: 참나무, 소나무 등 강한 목재 + 금속 나사
      • 특징: 무겁지만 뛰어난 진동 흡수력
      • 사진학적 이점: 장노출 촬영 시 안정적인 프레임 확보
      • 대표 사례: 초상사진관, 신문기록 사진

      📷 이미지 제안: 1920년대 사진관 내부 전경 + 대형 목재 삼각대 사용 모습

      ⚙️ 2세대: 알루미늄 삼각대의 등장 (1950~1980년대)

      • 재료 변화: 무게 절감 + 휴대성 향상
      • 사진학적 의미: 야외 촬영 증가, 보도사진과 기록사진 발전
      • 특징 기능: 수평계 장착, 경통 회전 가능

      🧪 3세대: 카본 파이버와 하이브리드 재질 삼각대 (2000년대 이후)

      • 장점: 고강도 + 경량 + 진동 감쇠
      • 사진학에서의 용도 확장: 천체사진, 타임랩스, 고속촬영까지 커버
      • 현대 기능: 볼헤드, 플루이드 헤드, 오토 레벨링 등 첨단화

      📷 이미지 제안: 현대 사진가가 카본 삼각대로 야경 촬영 중인 모습


      🎓 삼각대의 존재 이유: 사진학적 정의

      삼각대는 단순한 받침대가 아닙니다.
      사진학에서 삼각대는 다음 세 가지 핵심 목적을 가집니다:

      1. 피사체의 프레임 고정
      2. 노출 시간 확보에 따른 흔들림 방지
      3. 구도 구성의 반복성 확보 (스튜디오/연구 촬영에 필수)

      특히 건축 사진, 미술사적 기록, 천체사진에서는 지금도 삼각대가 절대적인 도구로 쓰입니다.


      📌 일제 강점기 사진가의 관점에서 본 삼각대의 의미

      그 시절 사진은 단순한 예술이 아닌 역사 기록의 수단이었습니다.
      삼각대는 광학 기술이 부족하던 시대의 한계를 보완해주는 핵심 장비였으며, 특히 대형 포맷 카메라에서 수동 조작의 정확성을 위해 필수적이었습니다.

      📖 참고: 네이버 블로그 📷 일제 강점기 사진 기록 아카이브


      ✅ 결론: 기술은 발전했지만 원리는 그대로

      삼각대의 소재와 구조는 시대에 따라 바뀌었지만, 사진학적 기능은 100년 전이나 지금이나 동일합니다.
      빛을 정확히 받아들이고, 피사체를 안정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도구. 그 핵심은 흔들림 없는 ‘정확한 순간의 포착’입니다.


      💬 당신의 생각은?

      • 삼각대를 사용한 마지막 촬영은 언제인가요?
      • 삼각대 없이도 흔들림 없는 사진을 찍는 팁이 있다면?
        👉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!